[태그:] 철학적 사유의 풍경

일본어로 된 난이도 높은 글들 (JLPT...

일본어로 된 난이도 높은 글들을 이해하는 것이 JLPT N1에서 요구하는 실력 수준입니다. 일본 대학에 입학할때는…

체험주의가 신체적인 것을 생물학적 조건이라고 하는...

체험주의는 과학을 인정하면서도 존재 구명(rescue)에 대한 긍정을 하는 철학이다. 과학에서 연구하는 신체적인 것과 생물학적 조건이…

체험주의에서 유폐와 탈유폐에 대한 논의에 대하여

체험주의는 인지과학을 지지하는 철학 체계다. 인지과학이 논의하는 뇌의 기능과, 의사소통이 기호의 매개를 거쳐서 이루어진다는 발견,…

문법을 우선해야 하나 화용론을 우선해야 하나

문법과 화용론은 언어 이해의 대표적인 이론입니다. 두 이론 모두 필요한데요. 언어가 기호인지라, 이해가 각자 다르고…

Theodore Gracyk, 2012, The Philosophy of...

Theodore GracykThe Philosophy of Art2012, Polity Press 예술철학은 예술에 대해 논의하는 철학이다. 예술학이 예술의 실무적인…

종교와 삶의 만족에 대한 상념

종교에 귀의한다는 말이 있죠. 삶에서 팍팍한 생활을 하면서 고생을 하다가, 종교인 분들의 배려와 박애 정신에…

버질 올드리치, 예술철학, 1963, 서광사

버질 C. 올드리치 저자(글) · 오병남 번역서광사 · 2004년 12월 30일 예술철학은 그 이름에서 목적…

한국어와 철학적 분석

분석철학의 묘미는 구조를 분석하는데 있는 것 같다. 개념이면 개념, 현상이면 현상을 택해서 개념과 현상이 가능한…

로크와 버클리에 있어서 material object에 대해

이번 글에서는 로크와 버클리를 구분하는 핵심적인 개념인 물리적 대상(material object)에 대한 이해의 차이를 생각해보려고 한다….

주관적 관념론, 객관적 관념론, 선험적 관념론에서...

저도 관심권에 있는 주제라 저의 의견을 말해보겠습니다. 주관적 관념론이 관념론으로 지칭되었으나 버클리 또한 개념을 토대로…

버클리의 표상주의

버클리의 주저를 깊이 있게 읽어보려고 판본을 재차 구해두었다. 해설을 다양하게 읽어보면서 기존의 기반을 확인하고 내…

체험주의 철학의 프레게 비판과 의미론적 확장

언어 분석철학은 프레게가 제시한 기호와 지시체, 뜻의 구분으로부터 시작한다고 여겨진다. 프레게는 수학자로서 엄밀한 수학의 기호성을…

현상학과 분석철학의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해 공부하고...

분석철학의 언어분석이 가야 할 길분석철학에서 언어분석을 하는 방법은 사용 방식으로 여러 양태가 있겠지만 이에 대해서…

현상학과 분석철학의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해 공부하고...

몇시간전에 작성해서 올린 저의 의견에 대해 배철님과 저가 열띤 토론을 했는데요. 전 우선 배철님이 말씀해주신…

후설의 헤겔 개선요청에 대한 해결방법

헤겔은 정신현상학 저술시 급하게 논증을 추가하기도 하고 여러모로 난해해지는 부분이 있다고 연구자들은 말합니다. 이 난해해지는…

철학과 역사, 문학이 필요한 이유

철학과 역사, 문학은 인문학의 3대 학문으로 人文學으로 통칭됩니다. 사람의 글이라는 의미에서 학문이라는 것이죠. 이를 人紋學처럼…

좋은 것의 윤리학

우리가 지능을 가진 인류인 한, 태어나서 늙어 소멸할때까지 의미를 찾아 구체화하고 대상에 의미를 부여하는 활동을…

현상에 대한 해석 기조입니다

현상은 현상학뿐아니라 해석학과 분석철학, 포스트모더니즘에서도 주목하는 철학적 논의 대상입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접하는 거의 모든 사태는…

오랜 시간 함께 해온 책들의 향연...

많은 사람들이 인생을 수동적으로 살아오고 있다. 무기력하게 현실에 순응하고 삶의 모순을 느껴도 그저 받아들이는 처지로…

예술작품과 믿는체하기에 대한 해석

우리는 예술작품을 대할때 일차적으로는 공감적인 감상을 하고 때로는 대상적이거나 평가적이거나 인지적인 감상도 합니다. 예술작품에 공감했다는…

예술학과 미학에 두루 정통한 미학자의 미술평론집...

한국미술의 원더풀 리얼리티강수미 지음현실문화연구 펴냄2009.06.12 미술작품은 감상자 외부의 사물이다. 외부의 사물로서 존재하는 사물의 물질적인 측면을…

심성적 인과와 사건적 인과의 구분

현대적인 추세는 마음과 몸의 구별을 서로 분리된 엔터티로 하기보다 둘이 서로 의존적임을 근거로 한다. 치유적인…

원전을 읽고 이차문헌 읽는 것에 대한...

철학적인 감각이 길러지고 자신의 요령을 체현한 경우 이차문헌만 읽어도 어떤 체계인지, 원전에서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가…

체험주의가 의미를 획득하는 이유

체험주의에서 말하는 인식적 조건으로 특유적인 것은 상상력과 개념적 은유다. 사람이 이성적인 결정을 내릴 때 언어에…

체험주의가 바라본 인식적 힘과 외연적 질서

밖에 나와 체험주의 저서를 조금 더 읽었다. 두시간 조금 넘게 있던 것 같은데 한시간일수도 있다….

IT하시는 분들이 하시면 좋은 철학적 과제들

IT 하시는 분들은 취미 생활을 하실때 지성적인 주제를 좋아하시기도 합니다. 음악도 들으시고 시사도 토론하고 메타적인…

의미 부여와 블로깅 지속력의 상관 관계

제가 늘 글쓰기에 대한 글에서 부르짖는 것은 사람은 의미 부여를 하면서 살아가는 존재라는 것이구요. 누구나…

생각의 확장이 곧 글쓰기로 이어진다

우리는 일상을 살아오면서 익숙하게 경험해왔던 생활 습관에 의해 가치관이 형성되고 이로부터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정해집니다….

카뮈와 지중해성에 대한 해설 1

카뮈와 지중해성에 대한 논문을 읽었다. 지중해성 또는 지중해적 정신은 카뮈의 사상적 배경이며 저작에서도 드러나 있는…

사진 활동과 장비에 대한 상념

많은 분들이 사진 장비에 대한 의견이 같은 것은 “실력이 배경이 되면 좋은 장비 쓰는게 맞다”지만,…

예술이론의 분류법에 대한 논의

1. 박이문 교수님은 미학과 예술철학의 구분에 있어서 독특한 분류를 제안하신다. 그 둘을 서로 다른 체계로…

객관적으로 자기 글을 바라보기

철학하시는 분들은 생각의 전문가분들이시고 개념 하나 표현 하나를 보셔도 배후의 원리를 알아채시는 능력이 탁월하십니다. 대다수의…

철학적 탐구는 왜 필요할까?

한국 사회에서도 철학적 탐구가 있었다. 지리적인 특성으로 인해 동양철학이나 토착 종교의 형태로 되어왔기에 서양과 조금…

언어의 묘사와 그림의 묘사

언어와 그림은 똑같이 무엇을 의미하려고 한다. 글자라는 매개체에 의해 언어는 지시를 수행하며 그림은 화풍이라는 매개체에…

문학 언어의 특성들

박이문님은 <예술철학>이라는 저서에서 예술과 언어의 동연성에 대해 논의하시면서 정상언어와 비정상언어의 구별을 하시고 있다. 예술 언어는…

어떤 사람의 사진을 찍은 사진 또한...

사진예술은 모사의 예술이다. 찍혀진 인물과 실재 인물의 외형은 똑같게 보이는 예술이다. 증명사진의 예에서 드러나듯이 A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