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화려한 책갈피 – 서평

버질 올드리치, 예술철학, 1963, 서광사

버질 C. 올드리치 저자(글) · 오병남 번역서광사 · 2004년 12월 30일 예술철학은 그 이름에서 목적…

한국어와 철학적 분석

분석철학의 묘미는 구조를 분석하는데 있는 것 같다. 개념이면 개념, 현상이면 현상을 택해서 개념과 현상이 가능한…

한국음식문화포럼, 2019, 국밥, 따비

한국음식문화포럼 저자(글) 따비 · 2019년 09월 25일 국밥은 한국의 대표 음식이다. 한류가 불어왔을 때 감자탕도…

문광훈, 2019, 미학수업, 흐름출판

문광훈 저자(글)흐름출판 · 2019년 03월 19일 예술과 문학은 심도 있는 연관성으로 우리의 삶, 세계에 대해…

컴퓨터 구조 이해에 대한 책 여섯권

컴퓨터 입문 당시에 배우면 좋은 지식과 노하우 전수 책 한 권과, 공학 전공자가 보면 좋은…

CSS3: 세상에 없던 가장 꼼꼼한 매뉴얼

데이빗 소여 맥팔랜드 저자(글) · 이병준 번역인사이트 · 2013년 08월 23일 우리가 흔히 인터넷이라고 부르는…

내면이 강한 누나 같은 애정으로 배움을...

정여울 박사님은 시네필 다이어리로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린 문학평론가시다. 학사부터 박사까지 문학으로 학위를 받으셨다. 문학도들도 여러…

오랜 시간 함께 해온 책들의 향연...

많은 사람들이 인생을 수동적으로 살아오고 있다. 무기력하게 현실에 순응하고 삶의 모순을 느껴도 그저 받아들이는 처지로…

메타인지와 서평쓰기 4 – 책 이해는...

요즘의 한국 젊은이들은 어릴적부터 글쓰기 공부를 꾸준하게 해온 학생들이 많아서 글쓰기 자체는 어렵지 않은 경우가…

메타인지와 서평쓰기 3 – 카테고리 구조의...

대다수의 경우 메타인지와 개념적 사고에 대한 필요성은 누구나 공감합니다. 그리고 그 기반이 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메타인지와 서평쓰기 2 – 개념적 사고

메타인지는 지성적인 활동의 최우선 전제 조건입니다. 지성적이라고 하는 것은 현상에서 철학적인 인식을 이끌어낸다거나 요리를 보고…

메타인지와 서평쓰기 1 – 카테고리적인 사고법

사람은 누구나 평소에 자기 생각을 하면서 살아갑니다. 생각을 하는 존재이기에 사람일 수 있구요. 누구나 자기…

유닉스 운영체제를 다룰때 전문성을 극대화해주는 명령어...

전공자들은 익히 아는 것이 현대의 전자식 디지털 컴퓨터의 기원은 폰 노이만 구조라는 사실이다. 폰 노이만…

한국인의 건강과 정서의 상징 밥, 밥에...

밥의 인문학정혜경 지음도서출판 따비2015년 5월 10일 출간 쌀은 밀과 비교하면 영양적으로 라이신 같은 아미노산의 함유…

예술학과 미학에 두루 정통한 미학자의 미술평론집...

한국미술의 원더풀 리얼리티강수미 지음현실문화연구 펴냄2009.06.12 미술작품은 감상자 외부의 사물이다. 외부의 사물로서 존재하는 사물의 물질적인 측면을…

현대사진의 이해는 이것으로부터 “현대사진을 보는 눈”

현대사진을 보는 눈한정식 지음눈빛 펴냄2007년 3월 10일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으로 이제는 사진이 일상화되고 있다는 말도…

IT하시는 분들이 하시면 좋은 철학적 과제들

IT 하시는 분들은 취미 생활을 하실때 지성적인 주제를 좋아하시기도 합니다. 음악도 들으시고 시사도 토론하고 메타적인…

풍부한 사회문화적 시야와 상상력이 이끌어가는 정련된...

이문열 작가는 내가 글쓰기를 연마할때 참고한 작가이기도 해서 흠모하고 있었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과 같은 소설은…

내 사진을 체계적으로 고찰하며 촬영해보자 –...

이제 사진 프로젝트다김성민 지음도서출판 돋보기 펴냄2019년 3월 15일 1판 1쇄 펴냄 사진을 잘 찍으려면 여러…

노래를 대하고, 우리의 청춘을 대하고 “청춘을...

노래를 들으면 다들 느끼는 감정은 엇비슷합니다. 성격이나 입장, 가치관이 달라도 노래에 대한 첫느낌은 같다는 것이죠….

1990년대 한국 남성 사회의 한 풍경을...

개인의 삶은 위대한 인물이 아니라면야 소소하고 굉장하지는 않다. 오히려 들여다보면 겉모습과 달리 생활의 무게에 짓눌리고…

모든 요일의 기록 (김민철 저)

글에는 여러 창작 요인들이 합해져 하나의 의미체로 탄생하고, 이 의미체를 탄생시키는 요인들이 중요하다. 저자의 경험과…

떨림과 울림 (김상욱 저)

물리학은 차가운 학문일까? 세상을 전체와 부분으로 나누어 사실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사람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기관, 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