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사진 예술의 지평

예술작품과 믿는체하기에 대한 해석

우리는 예술작품을 대할때 일차적으로는 공감적인 감상을 하고 때로는 대상적이거나 평가적이거나 인지적인 감상도 합니다. 예술작품에 공감했다는…

사진 활동과 장비에 대한 상념

많은 분들이 사진 장비에 대한 의견이 같은 것은 “실력이 배경이 되면 좋은 장비 쓰는게 맞다”지만,…

언어의 묘사와 그림의 묘사

언어와 그림은 똑같이 무엇을 의미하려고 한다. 글자라는 매개체에 의해 언어는 지시를 수행하며 그림은 화풍이라는 매개체에…

문학 언어의 특성들

박이문님은 <예술철학>이라는 저서에서 예술과 언어의 동연성에 대해 논의하시면서 정상언어와 비정상언어의 구별을 하시고 있다. 예술 언어는…

어떤 사람의 사진을 찍은 사진 또한...

사진예술은 모사의 예술이다. 찍혀진 인물과 실재 인물의 외형은 똑같게 보이는 예술이다. 증명사진의 예에서 드러나듯이 A라는…

사진으로 무엇이 가능한가

다키 코오지 선생님의 사진론 저서를 다시 꺼내들고 읽고 있다. 일본어 철학서는 한국내 용어와 호환되는 용어가…

제프월 사진 소개

제프월의 사진에는 결정적 순간에 대한 창작과 사회적 의미의 장면들이 등장한다. 그의 작업에 나타나는 창작 장면의…

회화적 내용은 어떻게 의미를 갖는가

회화는 재현적이다. 어떤 대상을 묘사한다. 그러나 실재 대상을 그렸다고 하더라도 그 자체로 대상인 것은 아니다….

미적 실재론

1. 미적 경험은 대상에 대한 취미 판단이다. 뒤러의 자화상을 보고 느낀 강렬한 색채감과 김홍도의 풍속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