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인문학으로 보내는 시간
일본어로 된 난이도 높은 글들 (JLPT...
일본어로 된 난이도 높은 글들을 이해하는 것이 JLPT N1에서 요구하는 실력 수준입니다. 일본 대학에 입학할때는…
체험주의가 신체적인 것을 생물학적 조건이라고 하는...
체험주의는 과학을 인정하면서도 존재 구명(rescue)에 대한 긍정을 하는 철학이다. 과학에서 연구하는 신체적인 것과 생물학적 조건이…
체험주의에서 유폐와 탈유폐에 대한 논의에 대하여
체험주의는 인지과학을 지지하는 철학 체계다. 인지과학이 논의하는 뇌의 기능과, 의사소통이 기호의 매개를 거쳐서 이루어진다는 발견,…
문법을 우선해야 하나 화용론을 우선해야 하나
문법과 화용론은 언어 이해의 대표적인 이론입니다. 두 이론 모두 필요한데요. 언어가 기호인지라, 이해가 각자 다르고…
일본어 조사 “~니” 해석 요령 (다시...
일본어 조사 “~니”는 행동, 장소, 대상, 결과, 방향성과 같은 의미를 가진 조사입니다. 용례를 예로 들어…
Theodore Gracyk, 2012, The Philosophy of...
Theodore GracykThe Philosophy of Art2012, Polity Press 예술철학은 예술에 대해 논의하는 철학이다. 예술학이 예술의 실무적인…
사진을 감성적으로 촬영하기
사진은 자아가 은연중이더라도 그대로 드러나는 경향이 강한 매체라 감성적으로 찍는다는 것은 평소에 감성적이었다는 의미도 된다….
사진집을 보면서 심미안을 단련하는 요령
사진은 사진가가 바라본 사물의 내적인 인상을 전달하는 매체입니다. 사물의 내적인 인상은 사진가의 내면에 의해 나타내져보이기에…
내일의 사진가 – 사진이란?
사진은 기본적으로 시각적 상상력을 의미합니다. ‘눈’에 보이는 사물과 개념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프레임’에 담아 표현하는…
[일본어] 외국어 공부를 할때 동기부여에 대한...
외국어를 공부할때 제일 힘들게 느껴지는 것은 여러 이유가 있지만 대부분 이 두가지가 아닌가 합니다. (1)…
버질 올드리치, 예술철학, 1963, 서광사
버질 C. 올드리치 저자(글) · 오병남 번역서광사 · 2004년 12월 30일 예술철학은 그 이름에서 목적…
한국음식문화포럼, 2019, 국밥, 따비
한국음식문화포럼 저자(글) 따비 · 2019년 09월 25일 국밥은 한국의 대표 음식이다. 한류가 불어왔을 때 감자탕도…
로크와 버클리에 있어서 material object에 대해
이번 글에서는 로크와 버클리를 구분하는 핵심적인 개념인 물리적 대상(material object)에 대한 이해의 차이를 생각해보려고 한다….
주관적 관념론, 객관적 관념론, 선험적 관념론에서...
저도 관심권에 있는 주제라 저의 의견을 말해보겠습니다. 주관적 관념론이 관념론으로 지칭되었으나 버클리 또한 개념을 토대로…
체험주의 철학의 프레게 비판과 의미론적 확장
언어 분석철학은 프레게가 제시한 기호와 지시체, 뜻의 구분으로부터 시작한다고 여겨진다. 프레게는 수학자로서 엄밀한 수학의 기호성을…
문광훈, 2019, 미학수업, 흐름출판
문광훈 저자(글)흐름출판 · 2019년 03월 19일 예술과 문학은 심도 있는 연관성으로 우리의 삶, 세계에 대해…
현상학과 분석철학의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해 공부하고...
분석철학의 언어분석이 가야 할 길분석철학에서 언어분석을 하는 방법은 사용 방식으로 여러 양태가 있겠지만 이에 대해서…
현상학과 분석철학의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해 공부하고...
몇시간전에 작성해서 올린 저의 의견에 대해 배철님과 저가 열띤 토론을 했는데요. 전 우선 배철님이 말씀해주신…
후설의 헤겔 개선요청에 대한 해결방법
헤겔은 정신현상학 저술시 급하게 논증을 추가하기도 하고 여러모로 난해해지는 부분이 있다고 연구자들은 말합니다. 이 난해해지는…
CSS3: 세상에 없던 가장 꼼꼼한 매뉴얼
데이빗 소여 맥팔랜드 저자(글) · 이병준 번역인사이트 · 2013년 08월 23일 우리가 흔히 인터넷이라고 부르는…
철학과 역사, 문학이 필요한 이유
철학과 역사, 문학은 인문학의 3대 학문으로 人文學으로 통칭됩니다. 사람의 글이라는 의미에서 학문이라는 것이죠. 이를 人紋學처럼…
현상에 대한 해석 기조입니다
현상은 현상학뿐아니라 해석학과 분석철학, 포스트모더니즘에서도 주목하는 철학적 논의 대상입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접하는 거의 모든 사태는…
내면이 강한 누나 같은 애정으로 배움을...
정여울 박사님은 시네필 다이어리로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린 문학평론가시다. 학사부터 박사까지 문학으로 학위를 받으셨다. 문학도들도 여러…
오랜 시간 함께 해온 책들의 향연...
많은 사람들이 인생을 수동적으로 살아오고 있다. 무기력하게 현실에 순응하고 삶의 모순을 느껴도 그저 받아들이는 처지로…
메타인지와 서평쓰기 4 – 책 이해는...
요즘의 한국 젊은이들은 어릴적부터 글쓰기 공부를 꾸준하게 해온 학생들이 많아서 글쓰기 자체는 어렵지 않은 경우가…
메타인지와 서평쓰기 3 – 카테고리 구조의...
대다수의 경우 메타인지와 개념적 사고에 대한 필요성은 누구나 공감합니다. 그리고 그 기반이 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메타인지와 서평쓰기 2 – 개념적 사고
메타인지는 지성적인 활동의 최우선 전제 조건입니다. 지성적이라고 하는 것은 현상에서 철학적인 인식을 이끌어낸다거나 요리를 보고…
메타인지와 서평쓰기 1 – 카테고리적인 사고법
사람은 누구나 평소에 자기 생각을 하면서 살아갑니다. 생각을 하는 존재이기에 사람일 수 있구요. 누구나 자기…
예술작품과 믿는체하기에 대한 해석
우리는 예술작품을 대할때 일차적으로는 공감적인 감상을 하고 때로는 대상적이거나 평가적이거나 인지적인 감상도 합니다. 예술작품에 공감했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