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관은 거세한 자로 궁중에서 잡무를 보던 관리였다. 환관의 宦은 본래 벼슬이라는 뜻으로, 궁중에서 일하는 사람을 뜻한다. 중국 역대 왕조의 역사를 보면 이들 환관이 관련된 사건들이 있었는데 이로부터 환관들이 역사적으로 지닌 의미가 연구 주제가 된다.
중국 역대 왕조의 흥망성쇠는 환관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었다. 환관은 어린 나이에 궁중에 들어와 황태자와 함께 생활하고 친분을 맺어 돈독한 관계를 가진 인물들이 많았다. 어릴적부터 시중을 들고 비밀도 공유하던 친밀함은 단지 인간적 관계였을 뿐아니라 황태자가 어린나이에 황제가 되었을때 정권을 잡은 외척들을 견제하는 임무도 맡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정치의 핵심이었다. 군주정치를 지속하기 위한 환관정치가 행해진 것인데 쉽게 말해 환관은 비서실장으로 황제를 섬기는 사람들이었던 것이다. 그런만큼 황제 권력에 영향력이 커서 시대에 따라 정의롭기도 하고 불의롭기로 한 활약을 했다.
보통 한 왕조를 열은 태조는 대외활동으로 다져진 정무 감각에 의해 매우 강력한 왕권을 행사했다. 한나라의 경우를 보면 호족에 의해 성립된 후한의 경우 호족에게 현이 지급되고 자치권도 부여했지만, 왕권이 강해서 전제왕권에 위협이 될 정도는 아니었다. 그러나 중국 역대 왕조에서 흔히 보이는 패턴처럼, 어린 황태자가 왕위를 이어받을 때, 대신 수렴청정을 하던 황후의 가족인 외척들의 전횡도 있었기 때문에 왕권 유지를 위해 황제와 환관은 의존적이었다. 역사상으로 외척이 역심을 품고 황제를 위협하면 황제와 친밀한 관계에 있던 환관들이 대항세력이 되어 외척을 척살하거나, 견제하는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환관은 비서실장의 역할이라 황제의 일거수일투족을 수행했고 지근의 거리에서 황제를 섬겼다. 그러다보니 황제는 자신을 시중드는 환관을 신임했다. 그러나 환관들은 황제가 될 수 없었으므로 황권의 실체는 아니었다. 그래서 드물지만, 어떤 경우 황제가 환관들에게 살해당하고 새로운 황제가 옹립되는 경우도 있었다.
환관들은 그 수가 수천명에서 수만명이 선발되어 궁중에서 생활했는데 단결력이 강했다. 황제의 총애도 받고 때로는 황권에 도전도 하고 때로는 비밀경찰 조직의 임무를 받아 활동도 했고 후한의 십상시들처럼 전횡을 일삼기도 했다.
환관들이 황제와 함께 하면서 있었던 사건들은 환관정치의 특색을 지니고 있었으므로 중국 역사를 이해하는데 큰 실마리가 된다. 중국 왕조들의 우여곡절은 살펴보면 의의가 깊다.
당대에도 이런 환관정치에 대한 인식이 있어서, 삼국의 이야기를 소설화한 삼국지연의에서도 십상시가 서두에 나올 정도다. 이번 연작글에서는 환관들의 역사적 유래와 이에 관한 여러 주제를 소개함으로써 삼국지연의와 연관성을 살펴보도록 하겠다.